생식과 발생
1. 염색체
염색체: 세포가 분열할 때 가느다란 실 모양의 염색사가 굵게 뭉쳐 나타나는 구조물. 유전
정보를 전달하며, 평상시에는 염색사의 형태로 존재한다.
정보를 전달하며, 평상시에는 염색사의 형태로 존재한다.
염색체의 구조
- 유전자: 생물의 특징을 결정하는 유전 정보로, DNA의 특정 부위에 있다.
- 염색 분체: 하나의 염색체를 이루는 각각의 가닥. - 유전 정보가 서로 같다.
상동 염색체: 체세포에 들어 있는 모양과 크기가 같은 염색체 쌍. 염색체는 어머니와 아버지로
부터 각각 받으므로 항상 모양과 크기가 같은 쌍이 있다.
# 염색체는 항상 쌍을 이루므로 그 개수는 항상 짝수이다. 부터 각각 받으므로 항상 모양과 크기가 같은 쌍이 있다.
염색체 수: 하나의 세포에 들어 있는 염색체 수와 모양은 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, 같은
종류의 생물은 체세포에 들어있는 염색체 수와 모양이 같다.
종류의 생물은 체세포에 들어있는 염색체 수와 모양이 같다.
- 염색체 수와 생물이 고등생물인지 아닌지는 연관이 없다. Ex) 사람(46), 감자(48)
- 염색체 수가 같아도 다른 생물일 수 있다. Ex) 감자(48), 침팬지(48)
사람의 염색체
- 염색체 수: 사람의 체세포에는 46개의 염색체가 있다. (상동 염색체 23쌍)
- 상염색체: 남녀가 공통으로 가지는 염색체 22쌍 (44개) - 1~22번 염색체
- 성염색체: 남녀의 성을 결정하는 염색체 1쌍 (2개) - 23번 염색체
→ 남자: 어머니 (상염색체 22개+성염색체 X) + 아버지 (상염색체 22개+성염색체 Y)
→ 여자: 어머니 (상염색체 22개+성염색체 X) + 아버지 (상염색체 22개+성염색체 X)
댓글 없음:
댓글 쓰기